본문 바로가기

기독교사 세계를 품다

우간다 에피소드 #7. 커피 좋아하세요? (홍세기)

기독교사 세계를 품다 7

우간다 에피소드 #7. 커피 좋아하세요?

홍세기

 

 

 

1년에 한 번 여는 카페

몇 년 전부터 나는 커피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이 카페는 1년에 단 1, 수련회가 열리는 장소에서 나흘간 연다. 처음에는 내가 좋아하는 우간다 커피를 사람들과 나누자는 생각으로, 수련회장에 커피 드립 도구를 가져갔다. 호응이 좋아서 이듬해부터는 아예 자리를 잡고 판을 깔았다. 그리고 세 번째 해에는 수련회 본부 측에서 상호를 만들어 붙여 주었다. Hong’s Coffee! 내 이름의 카페가 생긴 것이다. 생두는 우간다에서 공수하고 한국의 전문점에서 볶는다. 커피 향 은은한 수련회장이 되었고, 커피 덕분에 나는 수련회에 오는 거의 모든 후배와 인사를 나눌 수 있는 특권을 자연스럽게 얻게 되었다. ‘세상에 이렇게 맛있는 커피는 처음이에요’, ‘커피가 원래 이런 맛이었네요’, ‘선배님 커피가 설교보다 훨 나아요등으로 손님들은 반응한다. 사실로 믿고 계속할 생각이다. 이렇게 하여 나는 고민 많은 청년 때 하고 싶었던 음악다방 DJ의 한을 풀고 있다.

 

우간다 사람들은 잘 마시지 않는 커피

 

커피를 추수하는 때가 되면 나는 엘곤산 중턱을 찾아가 1년 먹을 커피를 구한다. 해발이 높은 곳에서 나는 커피일수록 늦게 출하되고 맛이 좋기 때문에 주로 1월에 산다. 그런데 나와 우리 한국 사람들이 그렇게 좋아하는 커피를, 생산국인 이 우간다 사람들은 잘 마시지 않는다. 커피 농사를 짓는 분들도 먹지는 않는다. 보통의 우간다 사람들도 쉽고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데도 안 마신다. 내가 커피잔을 들고 우간다 커피가 좋다면서 엄지를 치켜세우면 커피는 맛이 쓴데 왜 마시냐고 반문한다. 인생도 험하고 힘든데 왜 또 음료마저 맛도 없는 커피로 마시냐는 말로 들린다. 그들 말이 맞다. 사실 커피는 씁쓸한 맛이다. 볶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볶느냐에 따라서 쓴 맛의 정도가 달라지지만 어떤 종류의 커피든 커피는 기본적으로 쓰다.

 

커피의 생산과 맛

한국 사람들이 자국에서 생산되지도 않는 커피를 그렇게 좋아하는 것이 나는 그 쓴맛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통한의 역사 속에서 쓴 인생을 사는 한국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 맛과 닮은 커피의 씁쓸한 맛을 즐기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커피 맛을 모르면 인생도 잘 모르는 것이라는 농담도 한다. 그런데 커피는 쓴맛이지만 그냥 쓰지만은 않다. 그 속에는 오묘한 다른 맛과 향이 있다. 열대의 화산 땅에서 생산되는 아라비카 커피는 뜨거운 태양과 맑은 공기를 마시며 성장한다. 열매가 열리기 전에 피는 흰색 꽃은 은은한 라일락 향을 뿜는다. 꽃이 지면 열매가 맺히고 시간이 지나 붉어진 커피 체리는 달큰한 과즙을 만들어낸다. 우리가 먹는 커피는 이 체리의 씨앗이다. 그러므로 커피를 마신다는 것은 이 상큼하고 정열적인 열대 산악지대의 물과 공기를 마시고, 그 꽃향기를 맡는 것과 같다. 좋은 음악과 함께 마시면 나무 흔드는 바람소리도 들리는 듯하다. 인생은 커피처럼 쓰기는 하지만 그 속에 사랑이 있고, 위로와 쉼도 있다. 인생이 쓰고 어려울수록 삶의 의미는 도드라지고 삶의 향은 짙게 밴다. 이것이 커피를 인생에 비유하는 이유다.

 

 

내 생활 속의 커피

나는 아침에 학교에 출근하면 물을 먼저 끓인다. 쇼팽의 녹턴 1B단조나 슈만의 어린이 정경 트로이메라이같은 조용한 음악도 켠다. 그리고 커피를 갈아서, 끓인 물로 거름종이에 걸러낸다. 음악과 함께 따뜻한 커피를 목에 넘기면서 학교의 하루를 시작한다. 해결해야 할 여러 가지 일에 대한 판단과 지혜는 묵상한 말씀이 도와주지만, 집중력과 맑은 정신을 유지하는 데에는 아침 커피의 공헌이 크다. 남은 커피는 포트에 넣어두었다가 사무실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도 권한다. 우간다에 와서 변한 생활 습관 중 하나이며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아침 삶의 루틴이다. 커피는 생두를 커피 솥에서 내가 직접 볶는다. 부드러운 맛이 나도록 손으로 저어가며 볶는다. 볶을 때 나는 구수한 냄새도 좋다. 두 주일에 한 번은 볶아서 우리 지역에서 고생하는 십여 명의 선교사들과 나눈다. 한국에서 온 손님들에게 선물로 주기도 한다. 커피 생산지에 사는 사람으로서의 큰 특권이다.

 

 

볶은 커피 색깔과 아프리카 사람들

아프리카 사람들은 사실 영국 사람들이 가르쳐준 티를 좋아한다. 물에 석회질이 많은 유럽 사람들은 차에 우유를 타 먹으면서 석회 맛을 희석시킨다. 물도 맑고 커피가 이렇게 좋은 곳에 사는 아프리카 사람들이 영국식 티를 즐겨 마신다. 거기에 가능하면 설탕까지 넣는다. 쓰고 거친 인생을 달콤한 설탕과 부드러운 우유로 달래려는 듯 그렇게 마신다. 이름도 영국 사람들이 가르쳐준 대로 아프리칸 티라고 부른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의 삶과 닮은 것은 커피이다. 커피의 색깔과 맛은 이들의 모습과 삶과 너무나 닮았다. 드립용으로 적절하게 볶은 커피의 색깔은 우리 지역 사람들의 피부 빛깔과 대단히 비슷하다. 그래서 누군가 커피 볶기에 관심을 가지면 나는 당신의 피부 빛깔과 같아질 때까지 볶으면 된다고 말해준다.

 

아프리카 사람들은 볶은 커피 색깔 닮은 이 피부 빛 때문에 차별을 많이 받았다. 자기들 땅에서 조용히 살아갈 때는 괜찮았으나 노예로 팔려가 백인들과 섞이면서 혐오의 대상이 되었다. 심지어 카톨릭 선교부 보고에는 아프리카 사람들도 인간인가를 논의하는 내용도 들어 있다. ‘지옥의 불쏘시게라고 비하하는 사람들도 있었으며 불과 몇십 년 전만 해도 그 훌륭한 나라 미국에서 흑인에 대한 차별은 공식·비공식적으로 매우 심했다. 아쉽게도 검은색 피부의 사람들을 하대하는 정서는 오늘날 무중구(얼굴 하얀 사람들이라는 스와힐리어)에게는 여전히 있다. 무중구의 우월감에서 비롯된 것인지 이들 스스로 자신들을 낮추어서 그런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흑백의 차이는 지금도 현저히 존재한다. 슬픈 일이다.

 

지배자들의 시각으로 쓰여진 역사

우리가 배우는 역사는 대부분 지배자들에 의해서 기록된 것들이다. 스스로의 치적을 자랑하며 보관하기 위해서 쓴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런 역사적 기록에는 그들의 시각이 그대로 녹아있다. 내가 중고등학교 때 잘못 배운 세계사에서 나폴레옹, 알렉산더 그리고 몽골의 징기스칸은 모두 매우 훌륭한 사람들이었다. 사실일까. 영국이 정말로 신사의 나라이며, 해가 뜨지 않는 나라를 만든 엘리자베스는 정말 훌륭한 왕이었을까. 침략자이며 살인마인 이토 히로부미는 지금도 일본 사람들에게는 영웅이다. 영국과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사람에게 나라를 빼앗겼던 그 나라에서도, 우리가 배웠던 그 역사적 인물들은 훌륭한 사람일까. 사실을 말하면 아쉽게도 그렇다이다. 아프리카에서 지배자들은 여전히 훌륭하고 그들이 하대했던 자신들은 여전히 격이 낮은 사람이다. 지금도 교과서가 그렇게 가르치고 있고, 서양에서 개발된 것을 가진 사람들이 선망의 대상이 되고, 그것을 자랑스럽게 사용하는 것이 그 증거다. 싸게 팔리는 커피 역시 하나의 예이다. 자기들이 쓰는 언어와 문화, 이 땅에서 생산되는 그 맛있는 농산물과 커피는 그리 귀한 것으로 취급되지 않는다.

 

커피 마시며 이해하는 그들의 삶

이런 역사적 이유로 나는 이들이 별로 큰 사안이 아님에도 데모하고 파업하며 집단행동을 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침잠되어 있던 그 울분의 부유물들이 어떤 이유로든 일렁이며 떠오르기 시작하면 그들 스스로도 자제력을 잃고 터트리며 어떤 행동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그 불평등과 차별, 그리고 절대 빈곤으로 고픈 배를 안고 살아야 하는 이 사람들을 이해해야 한다. 공부할 여건이 되지 않아 소를 몰면서도 가능하면 춤과 노래로 그런 것들을 잊어버리려는 이들의 저 몸짓을 나는 이해해야 한다. 인생이 너무 써서 쓴맛의 커피를 마시고 싶어 하지 않는 것도 이해해야 한다.

 

1년에 한 번이 아니라, 언제든 우리 학생들이 쉴 수 있는 Cafe를 이곳에서 만들 수 있으면 좋겠다. 그곳에서 이 청년들과, 이들이 생산한 쓴 커피를 함께 마시며 인생 이야기를 하고 싶다. 씁쓸했던 인생을 반추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을 그 어느 때, 그동안의 인생이 얼마나 썼는지, 그중에 향기롭고 달콤한 일들은 어떤 것이 있었는지 들어보고 싶다. 그래도 인생은 선물이며 축복이라고 말할 수 있는 자리를 만들고 싶다. 벗어날 수 없는 원죄 같은 저 커피 빛깔의 피부를 내가 가지지 않는 한, 이해할 수 있다는 말은 할 수 없겠지만 말이다.

 

 

홍세기 우간다 쿠미대학교에서 일한다. 학내 문제들을 제대로 해결 못하고 전전긍긍 중이다. 아내 강학봉은 퀼트로 부녀자들의 생존사업에 열심을 쏟고 있다. 가족으로는 한국에 어머니, 별무리 마을에 살고 있는 딸 하늘과 사위, 두 명의 손주 그리고 음악하는 아들 이삭이 있다. ukarump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