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산책

눈물로 만난 첫 인터뷰


한병선의 아름다운 유산 4
눈물로 만난 첫 인터뷰



루이스 (Louise Grubb) 선교사

 미국에 도착하자마자 여정을 풀지도 못한 채 첫 번째 인터뷰 대상자를 만나러 갔다. LA에서 이틀 머무는 동안 총 다섯 명의 사람을 만나기로 했다. 처음 만난 분은 북장로회 소속의 루이스 선교사였다. 남편 구의령 선교사와 함께 대구와 안동 지역에서 40년간 사역하신 분이셨다.

 루이스 (Louise Grubb)선교사가 머물고 있는 곳은 LA에서 북쪽으로 올라간 곳으로 북장로회 소속 은퇴한 선교사들이 있는 웨스트민스터 가든이란 곳이었다. 아주 넓게 자리한 건물들이 시원스레 보였고, 몸이 불편하신 분들을 위해 간호조무사들이 집중적인 도움을 주고 있었다. 루이스 선교사님도 그곳의 도우미들로부터 부축을 받고 있었다.

 루이스 선교사는 90세가 넘은 분이셨다. 일단 목소리가 작고 흔들렸으며, 기억도 가끔 가물가물하였다. 무엇보다 앞을 잘 보지 못했다. 우리를 잘 알아 볼 수 없었고, 잘 듣지 못해서 우리는 그분과 대화하기 위해 주변에 모여들었다. 마치 할머니 무릎에 옹기종기 모여 옛날이야기를 듣는 듯 그녀의 발치 앞에 앉았다.

 그녀는 인자한 할머니와 같이 우리를 반겼다. 자신은 독일어와 스페인어, 한국어를 조금했지만 지금은 모두 잊어버렸다고 하였다. 그리고 자기 남편 구의령(William Albert Grubb ) 선교사가 있다면 정말 좋아했을 거라고 몇 번이나 말했다. 남편은 한국말을 아주 잘했다면서 자신이 한국어를 잊어버린 것에 대해 정말 미안해 하셨다. 활발하고 사람을 좋아해서 많은 이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그녀의 남편은 얼마 전에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그녀가 남편이 더욱 보고 싶다고 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전쟁 중에 찾은 한국

 남편과 함께한 추수 감사절 저녁 식사에서 남편은 자신이 곧 한국에 갈 거라고 하면서 한국에 같이 가는 게 어떠냐고 물어봤다고 한다. 그때 루이스는 물리 치료사로 일하고 있었고 물리 치료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란 말을 들었다. 그래서 그녀는 아직 전쟁 중인 한국을 찾았다. 그녀는 기업에서 후원하는 MBP프로젝트로 왔으며 노동자들의 손과 팔 등을 치료하는 일을 주로 하였다. 당시 한국은 전쟁 중이라서 모든 것이 폐허였고, 그 비참함은 눈을 뜨고 볼 수 없을 만큼 컸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잿더미를 빠르게 복구하는 것을 보고 한국 사람들은 정말 뛰어난 사람들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녀는 남편과 교단을 초월한 사랑을 했고 결혼 후 대구로 내려갔다. 그곳에서 남편과 함께 사람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고 계명대에서는 강의도 하며 학생들에게 영어 성경과 복음을 가르쳤다. 그녀는 직업으로 간호사를 하고 있었지만 시간이 날 때마다 한센병 환자가 있는 곳에 가서 봉사를 했다. 그들에게 다가가 방직과 미용을 가르쳤고 그들이 나중에 사회에 나가 독립할 수 있도록 도왔다. 한센병 환자들을 돌봐 주는 것이 참 행복했다고 한다.

세 명의 자녀를 한국에서 낳고 길렀는데 그것은 정말 잘한 일이라는 말에 듣는 우리가 더 놀랐다. 자식들에게 최고의 환경이라 생각하는 그녀의 말이 우리와 너무 다르다고 생각했다. 아이들은 행복했고 한국에서 아주 다양한 경험을 갖게 되었고 나중에 대전에 있는 외국인 학교에 가서 공부를 했는데 다들 정말 행복한 경험이었다고 했다.


그녀 삶에 가장 행복한 순간

 그녀는 인터뷰 내내 “한국 사람들은 정말 친절하고 좋은 사람들이다. 그들을 잊을 수 없다. 그들과 진실로 행복했다. 자신의 삶 중에 가장 중요하고 행복한 시간은 바로 한국에 머물렀던 40년이었다”라고 몇 번이나 말하였다. 그 말을 듣는 순간 우리는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다.

 나이가 70이 넘으신 이만열 교수님도 젊은 소장파 교수들도 그리고 촬영하던 우리도 눈물이 흘렀다. 그녀 인생의 가장 황금기 20대에 시작된 한국 생활이 60세 중반이 되어 끝났을 때 가장 행복했던 곳이 바로 한국이라고 말하는 그녀.

 한국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인지 물으니 눈물을 흘리면서 “좋은 친구들, 좋은 그리스도인, 배려심이 깊은 사람들. 그들에게 어떤 말을 더해야 할지 모르겠다” 하며 미국에 온 것이 아쉽다고 말한다. 나는 그만 펑펑 울고 말았다.

 우리가 그렇게 좋은 존재인가? 그들이 와서 인생의 황금기를 보내고 정말 행복했고 잘했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나는 남을 위해 도움을 주는 존재인가? 나는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고 가슴이 먹먹하기만 했다.

 그녀는 우리가 가져간 선물, 포장지, 편지 그 하나하나를 정말 귀하게 받으셨다. 그녀의 마지막 소원은 북한에 가는 것이다. 자신이 갈수만 있다면 북한에 가고 싶고 그곳에서 다시 사역을 하고 싶다고 했다.

 나는 이 말씀이 생각이 났다. “누가 우리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으리요. 환난이나 곤고나 박해나 기근이나 적신이나 위험이나 칼이랴.” (롬 8:35) 그녀를 보면서 끊을 수 없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나는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