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정책 특집 글

7. 제언6 : 단 소리, 쓴소리


 
특집7. 제언 6
단 소리, 쓴소리

김 성 천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좋은교사운동 SWOT 분석




좋은교사운동의 의미와 성과

- 기독 운동의 새로운 좌표를 열었다. 교회와 선교 단체에 국한되었던 기독 운동의 방향을 전문 직업인 운동으로 전개시켰다.

- 새로운 대안 세력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교조와 교총과는 차별화된 솔루션과 실천 운동으로 교사 운동을 다변화시켰다.

- 교사의 자발성과 헌신성에 입각한 운동이라는 점에서 구조 변혁 중심의 운동 틀을 벗어났고, 영성, 운동성, 전문성이라는 세 가지 축의 균형을 잘 잡고 있다.

-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을 배태시켰고, 깨미동, 협동학습연구회, 행복수업만들기 등의 전문 모임이 왕성히 활동하고 있고, 나름 성과를 거두고 있다.

- 국회 의원 활동 평가, 대통령 및 교육감 선거 공약 평가 운동을 통해 전문성 있는 조직으로서 위상이 강화되었다.

- 정책 대안 능력이 존재한다. 국회와 언론, 정부 등에서 좋은교사운동의 입장에 주목하고 있으며 사전에 의견을 들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 회원 단체 내 지역 모임이 꾸준히 지속되고 있고, 모임의 부침이 존재하지만, 한 번 자리 잡은 지역 모임은 발전하거나 분화하고 있다.



최근의 평가

- 정책 생산 능력을 재점검해야 한다. 진보 교육감이 생산하고 있는 혁신 학교, 무상 급식, 인권 등의 교육 정책 의제에 뒤따라가고 있는 모습이다.

- 학생 인권 조례에 대한 대응에 실패했다. 이 부분에 대한 좋은교사운동의 내부 입장도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육청과 교과부 지침을 어쩔 수 없이 따라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 교사별 평가도 본래 좋은교사운동이 제시했던 의제였으나 흐름을 놓쳤다. 교육 과정과 수업, 평가에 관한 교사들의 기획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운동 전략을 체계적으로 세우지 못한 것이 아쉽다.

- 새로운 실천 캠페인 발굴에 실패했다. 2010년 기독교사대회 때 현재 나타난 변화를 읽고 새로운 실천 과제를 제시했어야 했는데, 모호하게 제시했다.

- 본부와 회원 단체, 단체 소속 회원, 무소속 회원 간 연결 고리가 상당히 느슨하다. 좋은교사운동과 소속 회원의 이중 멤버십이 갖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 좋은교사운동 회원 수가 정체되고 있다. 11,000개의 학교에 깨어 있는 기독교사 한 명을 세우겠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실행이 보이지 않는다.



제안

- 온라인 매체를 통한 회원과의 직접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모든 행사를 실시간으로 중계해 회원과 소통해야 한다.

- 학교로 모여야 한다. 지금껏 지역 모임에서 훈련받고, 학교 안에는 원자화된 개인으로 존재했다. 이제는 회원 단체 간의 연대를 통해 한 학교를 정하고 그 학교에서 조직된 운동을 하면서 학교를 변화시키는 경험들을 만들어 내야 한다.

- 상설 연구 조직을 통한 연구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지금껏 현장 감각으로 정책을 논평해 왔다. 이제는 현장 연구, 데이터 수집에 근거한 정책 연구가 필요하다. 전문성 없는 정책은 참고 자료로만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상설 연구 조직이 필요하다.

- 출판 운동이 필요하다. 우리의 연구 성과들을 출판물로 만들어 내고, 독립적으로 일들을 추진해 가야 한다.

- 연수 체계화 전략이 필요하다. 연수 의무화 시대에 무학점 연수만으로 버텨 내기 어렵다.

- 네트워크 능력을 강화해 가야 한다. 지금껏 다른 진보 운동 등과 거리를 만들어 왔다. 그러나 철저히 give and take 방식으로 다른 시민운동과 연대해 갈 필요가 있다.

- 기독 대안 학교 운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재직 20년 이상 근무한 교사들의 경우, 기독 대안 학교에 헌신할 필요성이 있다. 여러 교회들이 대안 교육에 관심을 갖고 있지만 인력과 콘텐츠가 없는 실정이다. 장기적 대안으로 회원 단체나 좋은교사 컨소시엄을 통해 ‘좋은 학교’를 직접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공교육 모델과 대안 교육 모델 등이 다양하게 나올 필요가 있다.

- 인력 발굴이 중요하다. 글 쓰는 능력 등 리더 양성이 필요하다.





청중 질문
“좋은교사가 정책 콘텐츠 정보 제공 단체인가요? 좋은교사가 해야 할 핵심 사역의 우선순위가 궁금합니다. 또한 회원 역량 강화를 위한 혁신적은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